* 에듀팟에 기록하는 예3 (4.16 ~ 4.20)
진로활동 시간에 행복한 삶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알아보았다.
행복한 삶이란 어떠한 가치나 의미에 보람과 만족을 느끼는 삶을 말하며
행복에 대한 개념과 기준도 시대적 상황과 환경, 개인의 가치관 등에 따라 다르게 표현한다.
일반적으로 행복한 삶의 조건을 몇 가지로 정리해 보았다.
1. 기본적인 생활을 유지할 수 있는 경제적인 안정
2. 건강한 몸과 마음
3. 자기발전이 이루어져야 함 (정체되었을 때의 무력감,
정신적 육체적 성숙에서 만족감을 느끼듯이)
4. 남을 위해 봉사하는 보람.
5. 원만한 인간 관계
나의 삶 속에서 기쁘고 좋았던 일,
슬프고 좋지 않았던 일을 나누어 기록하고
그 느낌의 정도를 그래프로 나타내 보는 활동을 했는데 재미있었다.
얼마 살지는 않았지만 그간의 삶을 되돌아보고 장차 나에게 전개될 미래를
설계해 보는 계기가 되는 것 같아서 의미있는 시간이었다는 생각이다.
선생님의 질문에 친구들은 대체로 단편적으로 답을 해서 개인적으로 아쉬웠고,
발표를 할 때는 보다 진지하고 적극적인 자세가 필요함을 절감했다.
'나의 행복지수 알아보기'란 활동지를 선생님께서 제시하셨다.
15개의 물음에 대해 어떻게 대답하느냐에 따라 그 점수를 달라지는데
나는 8점 정도가 나와서 '비교적 행복한 사람'이라는 결과가 나왔다.
기분이 좋았다. 주어진 상황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즐겁게 생활하려고 노력한 결과라는 판단을 했다.
힘들었던 사춘기 시절이 떠올랐다.
내가 생각하는 행복은 무엇인가?
행복한 삶을 위해서 내가 노력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라는 질문에
나름대로 솔직하게 적어 보고, 돌아가면서 발표하는 시간,
그런대로 재미있었으나 여전히 친구들은 발표에 익숙지 않은 듯
말의 끝이 선명하지 않아서 안타깝게 느껴졌다.
-----------------------------------------------------------------------------------------
OECD, 삶의 질 따진 `행복지수` 발표.. 한국은 하위권
- 1위 호주, 캐나다·스웨덴·뉴질랜드 순...한국 26위
- 한국, 교육·안전은 좋지만 주거·공동생활 `최하`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올해 창설 50주년을 기념해 34개 회원국 국민들의 삶의 질을 측정한 `행복지수`(Better Life Initiative)를 내놨다. 한국은 하위권인 26위를 차지했다.
지난 24일(현지시간) OECD가 발표한 행복지수는 국민 생활과 밀접히 관련된 소득과 일자리, 삶의 만족도, 안전 등 11개 항목을 평가한 것이다.
앙헬 구리아 OECD 사무총장은 "새 지표는 사람들이 원하고 필요로 하는 것과, 정부가 이들에게 제공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알아내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상위권은 주로 북유럽과 앵글로-색슨 국가들이 차지했다. 11개 항목을 평균한 점수를 기준으로 1위는 호주가 차지했으며, 그 뒤를 캐나다와 스웨덴, 뉴질랜드, 미국, 노르웨이, 덴마크가 이었다. 일본이 19위, 한국이 하위권인 26위를 차지했다. 멕시코가 33위, 터키가 꼴찌인 34위였다.
한국은 교육(2위)과 일자리(11위), 안전(11위) 항목에선 높은 점수를 얻었지만, 주거(28위), 환경(29위), 일과 생활의 조화(30위), 공동생활(33위) 측면에선 최하위권이었다.
교육 항목의 높은 점수는 고졸 이상 학력자가 많기 때문이었다. 다만 `어려울 때 의지할 수 있는 사람이 있다`(공동생활)고 답한 사람이 80%로 OECD 평균인 91%에 크게 못 미쳤다.
국가별로는 룩셈부르크가 1인당 국내총생산(GDP)을 기준으로 하면 OECD 회원국 중 1위였지만, 행복지수에선 겨우 10위권에 드는 수준으로 나타났다.
멕시코는 삶의 만족도 조사에서 폴란드, 이탈리아, 포르투갈보다 높은 점수를 얻었지만 저개발과 불평등 문제로 인해 평균 점수가 저조하게 나왔다.
미국은 안전과 일자리 항목에서 낮은 점수를 받았으며, 일본은 삶에 대한 만족도가 40%에 불과해 OECD 회원국 중 최하위로 나타났다.
OECD는 "GDP는 사람들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복잡한 요인을 반영하지 못한다"면서 "새 지표가 이 시대의 진보와 `웰빙`을 재정의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클리어파일에 그간의 진로활동 정리하기 (0) | 2012.05.09 |
---|---|
나의 흥미, 적성, 성격 유형 알아보기 (0) | 2012.04.23 |
동기 유발 자료(행복에 관하여) (0) | 2012.04.17 |
발표 시간 (0) | 2012.04.03 |
나의 브랜드 만들기 (0) | 2012.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