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대입 자소서 쓰기 대비

진로진학상담

by 우람별(논강) 2016. 6. 21. 08:33

본문

대입자기소개서 1번 항목 쓰기 노하우 

지양희교육연구소 지양희 소장

       

“1항목은 학업역량을 평가는 항목입니다. 학업역량의 구비는 학생부종합전형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학생부에서 소재를 찾는 노하우는 무엇인가요?

우선 학생부에서 해당 항목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수상경력(노력과 학습경험, 결과), 전체 내신 향상된 증거(학생부 교과 성적란에서 교과 성적이 점차적으로 향상되었을 때), 일부 과목의 성적 향상 과목(학생부 교과 성적란에서 특정 교과 성적이 점차적으로 향상 되었을 때) 위의 것이 없을 때는 학생부에 기재된 방과 후 활동, 교과별 세부 특기사항의 기록, 행동 특성 및 종합의견에 기록내용, 자격증 및 인증 취득 상황기록 등에서 소재를 찾으면 됩니다.

 

작성법 Tip?

학업측면에서 자기를 가장 부각시킬 수 있는 소재를 찾아야 합니다. 가능하면 지원학과와 관련이 있는 장점이 좋고, 지원학과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더라도 자기를 부각시킬 수 있는 장점을 찾는 것이 좋습니다. 애틋하고 극적인 스토리를 자기소개서에 담아 내여 감동을 주도록 동기, 노력, 학습경험, 결과가 잘 나타낼 수 있게 스토리를 잘 구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금지사항 및 안 좋은 사례는?

미사여구 나열방식은 금물이고 막연하게열심히 공부해서 좋은 성적을 얻었다형식은 좋지 않습니다. 구체적인 증거에 입각해서 써야 합니다.

 

학생부에 들어갈 구성요소들은?

구체적 학습계획이 들어가야 하고 학습계획을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 노력(시간, 의지, 시간대)이 들어가야 합니다. 학습방법 (자기주도 학습, 반복학습, 개념 반복학습 등으로 터득)성적 향상 결과 증거(학생부의 내용, 자신의 사례나 일화를 들어 구체적 기술)가 들어가야 하고 배운점(노력과 반복학습의 효과)느낀점(자기가 느낀 점이나 개선해야 할 점) 등이 들어가야 합니다.

  

출처: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606167647a



고3! 3월부터 준비하고 점검할 사항-자기소개서 2번 항목?

본스터디학원 조성훈 원장


고등학교 재학기간 중 본인이 의미를 두고 노력했던 교내 활동을 배우고 느낀 점을 중심으로 3개 이내로 기술해 주시기 바랍니다. 단, 교외 활동 중 학교장의 허락을 받고 참여한 활동은 포함됩니다.(띄어쓰기 포함 1,500자 이내)


자기소개서 2번 항목에 적을 수 있는 내용 두 번째는 동아리 활동이다. 학술동아리, 봉사동아리, 직접 만든 자율동아리 등 수많은 동아리가 각 학교마다 개설되어 있다.
하지만 어떤 동아리 활동을 해야 할까? 무작정 학술 동아리 들어가는 것이 유리할까? 대학에서 우리나라 고등학생들의 학습량이 부족하다고 생각하지는 않을 것이다. 학술동아리를 택한다면 본인이 지원하고자 하는 전공을 먼저 고려하고 선배들의 활동 내역에 대한 조사를 먼저 한 다음, 지원 전공이나 진로에 맞는 깊이 있는 활동을 하는지부터 알아보고 선택해야 한다.


서울대의 경우도 지식의 절대적인 양이 아니라 그 깊이를 중요하게 본다는 취지의 얘기를 한 적이 있다. 필자가 지도하는 학생의 경우 학기 초 이런 상황에 상담을 요청하면 진로가 결정된 아이라면 자기주도 학습의 한 방편으로 활용 할 수 있는 동아리 선택을 우선 권한다.
그리고 이전 호에서 잠깐 언급했듯이 최근 자율동아리 창설 붐이 불고 있는데, 약보다 독이 될 수도 있음을 명심하기 바란다. 구체적인 활동 계획 없이 만든 동아리는 기존의 역사가 있는 동아리보다 활동 내역이 좋을 리 없다. 오히려 기존 동아리에서 꾸준히 해오고 있는 활동 중 자신에게 맞는 것을 취하는 것이 유리할 수도 있다는 말이다.


동아리를 창설하고 기장이 된다며 리더십이나 도전 정신에서 좀 더 유리하게 포장 할 수도 있지만 대학교에 입학하면 우선 요구되어지는 성정(性情)은 팔로우십이 아닐까 생각한다. 교수님의 수업을 잘 따라가고 선배들과 잘 융합하고 바뀐 조직문화에 잘 적응해야 하는 것이 더 필요하지 않을까? 그렇다보니 기존 동아리에서 이런 조직에 적응해가는 팔로우십을 자기소개서에 강조하는 방법도 오히려 허를 찌르는 비책이 될 수도 있다.
필자가 얘기하는 모든 사항들은 고3 1학기에 자기소개서를 쓰기 위한 전제를 가정하고 말하는 것으로 직접 현장에서 다년간 경험하고 지도한 사례를 토대로 말하고 있음을 다시 한 번 언급하고 넘어간다.


출처: http://www.naeil.com/news_view/?id_art=199210


관련글 더보기